혜성은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 중의 하나로, 태양 복사에 의해 핵으로부터 발생한 코마(핵을 둘러싸고 있는 구름층)와 꼬리를 갖는다. 혜성은 홍수, 기근, 전염병을 일으키는 불길한 징조로 여겼지만, 형국의 에드먼드 핼리가 혜성의 주기를 계산하고 다음 출현을 예견함으로써 태양계의 천체임을 입증하였다. 이것을 핼리 혜성이라 부른다. 혜성의 이름은 발견자의 이름을 붙인다.
혜성의 핵은 대부분 얼음과 먼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수 Km ~ 수십Km 정도이다. 혜성의 기원은 태양계 외곽의 오르트 구름이라는 혜성의 밀집소이며, 평소에는 태양을 공전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긴 타원의 궤도로 태양 근처로 떨어져 내려오면서 표면의 얼음과 먼지가 증발하여 꼬리가 생긴다.
보통은 헤일-밥 혜성이나 햐쿠타케 혜성처럼 한 번 태양에 접근 했다가 멀리 사라지는 수천 년에서 수만 년의 주기를 돌지만, 목성 등의 행성 인력에 잡혀 짧은 주기를 도는 핼리 혜성, 엥케 혜성 등도 있다. 이런 혜성을 "단주기 혜성"이라 하고, 반대로 수천 년의 주기를 가진 혜성은 "장주기 혜성"이라 부른다. 태양에 매우 가깝게 접근하여 증발하는 혜성들이 있고, 이들은 소호 태양 관측 위성에서 자주 관측된다.
혜성은 대부분 어두운 것이지만, 지구에 가깝게 접근하거나 매우 밝은 혜성이 지구 근처를 통과 할 때는 멋진 장관을 연출한다. 그리고 혜성이 지나가며 남긴 먼지 찌꺼기는 혜성의 궤도를 따라 이동하다가 태양풍에 의해 서서히 밀려나게 되고, 그 궤도 사이를 지구가 통과하면 대기와의 마찰에 의해 불타면서 지구로 낙하하는데, 그것이 별똥별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유성우이다.
또한 혜성은 구도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으며 일부 과학자들은 공룡의 멸종이 혜성과 지구의 충돌로 인해 일어났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특히 1994년 슈메이커-레비9 혜성의 목성 충돌로 혜성과 지구의 충돌 가능성이 일반인들에게 큰 관심을 얻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혜성 연구의 역사 (0) | 2021.01.02 |
---|---|
혜성의 특징 (0) | 2021.01.02 |
태양계의 탄생과 진화 (0) | 2021.01.01 |
태양계 기원설 - 현대 이론 (0) | 2021.01.01 |
태양계 기원설 - 초기 이론 (0) | 2021.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