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95 우주최강의 볶음밥! 청주 강서동 칠성반점에서 회동... 청주 기름종이(유지) 한갑부대표님과의 회동 장소는 강서동의 볶음밥 맛집 칠성반점. 볶음밥은 정말 맛있습니다. 같이 나오는 짜장과 짬뽕 국물을 먹어보니 다른 음식들도 아주 맛있을 것 같습니다. 잘 먹었습니다. 다음에 또 사주세요. 한갑부대표님, 만세만세만만세. 2021. 1. 15. "시탕뿌리"를 아시나요? 어죽 파는 식당이에요...^^ 충청남도 금산에 있는 "시탕뿌리"에서 어죽 한그릇! 사장님께 시탕뿌리가 뭔지 물어봤어야했는데... 그래도 역시 어죽은 해장에 좋아요...^^ 2021. 1. 9. 드디어 인생 짬뽕을 만나다. 보령 황해원 대천항에 가다가 인생 짬뽕을 만났다...^^ 보령 황해원! 메뉴는 짜장면과 짬뽕 뿐. 가격도 착하고.... 1분만 늦었어도 1시간동안 대기를 할뻔했다. 고량주를 한잔 했어야 했는데 아쉽다...^^ 오늘 비가오는데 한잔할까? 2021. 1. 7. 혜성 연구의 역사 고대에서 중세에 이르는 시기에 동서양에서는 혜성에 대한 여러 연구가 있었다. 옛날 사람들은 하늘은 완벽한 세계라고 믿었지만 이런 생각을 깨뜨린 것이 혜성이었다. 갑자기 하늘에 나타난 혜성은 우주의 질서를 깨뜨리는 공포스러운 존재였다. 대표적으로 핼리 혜성으로 로마시대 때 많이 등장했는데 로마인들은 혜성은 불행을 예고한다고 생각했다. 로마의 정치인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암살됐을 때 붉은 혜성을 목격했으며, 사람들은 이 혜성이 율리우스가 신으로 변해 하늘로 올라가는 것이라 믿었다. 불길함을 암시한다는 믿음 때문에 로마의 황제 네로는 혜성이 나타날 때마다 주변의 신하를 죽였다. 대한민국에도 불행을 암시한 혜성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 신라시대에는 왕의 죽음이나 중요한 사건이 일어났을 때 혜성이 등장하는데, 장보.. 2021. 1. 2. 혜성의 특징 1. 혜성의 물리적인 특징 혜성의 본체는 핵으로 불린다. 핵은 순수한 얼음이 아니고 암석질 또는 유기질의 먼지를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혜성의 핵은 더러운 눈덩이에 비유한다. 핵의 평균 직경은 수 백 m 정도이고, 작은 것은 수십m, 특별히 큰 것은 50Km 정도 되는 것도 있다. 질량은 크기에 따라 직경 1Km 정도의 혜성은 수십억 t단위, 직경 10Km 정도의 혜성은 수조 t 단위라고 생각한다. 얼음의 구성성분은 80% 이상이 물(H2O)이며, 다음으로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메탄(CH4)의 순서이며, 암모니아(NH3)와 시안화수소(HCN)도 미량 포함되어 있다.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할 때 푸른색으로 보이는 것은 이들의 적은 성분이 태양광으로 분해되어 생기는 C2와 CN 등의 라디칼(.. 2021. 1. 2. 혜 성 혜성은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 중의 하나로, 태양 복사에 의해 핵으로부터 발생한 코마(핵을 둘러싸고 있는 구름층)와 꼬리를 갖는다. 혜성은 홍수, 기근, 전염병을 일으키는 불길한 징조로 여겼지만, 형국의 에드먼드 핼리가 혜성의 주기를 계산하고 다음 출현을 예견함으로써 태양계의 천체임을 입증하였다. 이것을 핼리 혜성이라 부른다. 혜성의 이름은 발견자의 이름을 붙인다. 혜성의 핵은 대부분 얼음과 먼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기는 수 Km ~ 수십Km 정도이다. 혜성의 기원은 태양계 외곽의 오르트 구름이라는 혜성의 밀집소이며, 평소에는 태양을 공전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긴 타원의 궤도로 태양 근처로 떨어져 내려오면서 표면의 얼음과 먼지가 증발하여 꼬리가 생긴다. 보통은 헤일-밥 혜성이나 햐쿠타케 혜성처럼 한 번 .. 2021. 1. 2. 태양계의 탄생과 진화 13. 태양계의 탄생과 진화 13 - 1 태양계의 과거 여러 가지 태양계의 기원설이 제기되어 왔으며 그중에 성운설에 따르면, 우리 태양계는 46억 년 전 거대한 분자운이 중력적으로 붕괴되면서 태어났다고 한다. 이 분자운의 폭은 수 광년 정도였으며, 아마도 태양 외에도 같이 태어난 형제 별이 여러 개 있었을 것이다. 훗날 태양계 부분이 될 태양 성운 지역이 붕괴되면서 각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 물질이 뭉치는 부분은 점점 빠르게 회전하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질량이 모인 중심부 부분은 주변 원반 지대보다 훨씬 뜨거워지기 시작했다. 수축하는 성운이 회전하면서 성운을 구성하는 물질은 약 200 천문단위 지름 크기의 원시 행성계 원반으로 납작하게 공전면에 몰렸고, 뜨겁고 밀도 높은 원시별이 원반 중심에 자리 잡았다.. 2021. 1. 1. 태양계 기원설 - 현대 이론 12. 태양계 기원설 12 - 2 현대 이론 12-2-1 부가 이론 1944년 소련 유성기어장치 과학자 오토 슈미트와 유리 등은 새로운 종류의 이원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망원경을 통한 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저온 고밀도의 구름덩어리가 은하에서 형성된다고 주장했다. 처음에는 물질이 태양 주위를 타원 궤도를 그리며 회전하다가 차츰 원 궤도로 전환된다는 것이다. 그 결과로 입자 간의 충돌 횟수가 많아지면서 입자의 크기가 커지고 서로의 인력도 커지게 되어 점점 크게 성장했다는 것이다. 또한 구는 원시 태양이 이 구름 덩어리를 지나면서 이 먼지-가스 덩어리를 포획한다고 주장했다. 슈미트는 에너지를 고려할 때 두 개의 고립된 천체가 있으면 한 천체의 구성 물질은 다른 천체에게 포획되지 않는다고 믿었으며, 또 일.. 2021. 1. 1. 태양계 기원설 - 초기 이론 12. 태양계 기원설 12 - 1 초기 이론 12-1-1 성운설 데카르트와 칸트, 라플라스(1796년)의 이론과 관찰에 바탕을 둔 과학적 첫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느리게 회전하는 가스와 먼지의 구름 덩어리가 냉각된 후 중력 때문에 수축하였고, 이 수축 때문에 더 빠르게 회전하고, 회전축을 따라 평평해졌다. 이것은 결국 질량 중심 주변을 자유 궤도로 도는 적도 물질로 구성된 렌즈형의 모양이 된다. 그 후 물질들은 여러 고리에 응집된다. 응집된 덩어리들은 각각 조금씩 다른 비율로 궤도를 돌면서 각각의 고리에서 초기 행성을 만들게 된다. 초기 행성의 수축에 기초를 둔 축소판 과정을 통해 위성이 만들어지며, 최초의 먼지와 가스 덩어리의 중심 덩어리가 수축하여 태양이 만들어지게 된다. 행성과 태양이 하나의.. 2021. 1. 1.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2 다음 반응형